열심히 해도 안 되는 이유? 두뇌가 좋아하는 방법을 몰랐을 뿐
열심히 해도 안 되는 이유? 두뇌가 좋아하는 방법을 몰랐을 뿐

매일 새벽 5시에 일어나 책상 앞에 앉는다. 하루 10시간씩 공부하고, 주말도 반납한다. 그런데 성적은 제자리걸음이다. 직장에서도 마찬가지다. 야근을 밥 먹듯이 하고, 주말에도 노트북을 펼친다. 하지만 승진은 남의 이야기다.
“나는 머리가 나쁜가 봐.” “재능이 없나 봐.” “노력해도 안 되는 사람인가 봐.”
이런 생각이 든다면, 잠깐. 문제는 당신의 머리가 아니다. 두뇌가 좋아하는 방법을 몰랐을 뿐이다.
노력의 배신: 왜 열심히 해도 결과가 안 나올까?
우리는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는 말을 믿으며 살아왔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주변을 둘러보면 별로 노력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데도 성과를 내는 사람들이 있다. 반면 피나는 노력을 해도 제자리걸음인 사람들도 있다.
이 차이는 무엇일까? 답은 ‘효율’에 있다.
생각해보자.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는데, 한 사람은 KTX를 타고 2시간 만에 도착한다. 다른 사람은 걸어서 일주일을 간다. 누가 더 노력했을까? 당연히 걸어간 사람이다. 하지만 누가 더 빨리, 효율적으로 목적지에 도착했을까?
공부와 업무도 마찬가지다. 중요한 건 얼마나 오래, 얼마나 열심히 하느냐가 아니다. 얼마나 두뇌가 좋아하는 방식으로 하느냐가 핵심이다.
두뇌가 좋아하는 방법이란?
인간의 두뇌는 정보를 처리하는 고유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인지과학에서는 이를 ‘정보처리 프로세스’라고 부른다. 크게 3단계로 나뉜다:
1. 부호화(Encoding): 정보 입력 단계
정보를 주의·집중하여 사전지식에 기반해 빠르고 정확하게 받아들이는 과정이다. 마치 컴퓨터가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과 같다.
2. 통합/저장(Storage): 정보 저장 단계
입력된 정보를 다양한 전략을 통해 머릿속에 오랫동안 저장하는 과정이다. 단순 암기가 아닌, 기존 지식과 연결하여 의미 있게 저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인출(Retrieval): 정보 활용 단계
저장한 정보를 필요할 때 꺼내어 말, 글, 행동 등으로 표현하는 과정이다. 아무리 많이 알아도 꺼내 쓸 수 없다면 무용지물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프로세스를 무시한 채 무작정 열심히만 한다. 마치 컴퓨터의 작동 원리를 모른 채 키보드를 마구 두드리는 것과 같다.
지금 당장 실천할 수 있는 3가지 방법
1. 청킹(Chunking): 정보를 덩어리로 만들기
전화번호를 외울 때 010-1234-5678로 나누어 외우듯, 모든 정보를 의미 있는 덩어리로 나누어 처리하라. 두뇌는 개별 정보보다 덩어리 정보를 훨씬 잘 처리한다.
2. 능동적 인출 연습: 떠올리기 훈련
책을 읽거나 강의를 들은 후, 책을 덮고 핵심 내용을 떠올려보라. “음… 뭐였더라?”하며 애쓰는 그 순간, 두뇌는 가장 활발하게 학습한다.
3. 간격 반복: 망각 곡선 활용하기
한 번에 10시간 공부하는 것보다, 2시간씩 5일에 나누어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두뇌는 적절한 간격을 두고 반복할 때 가장 잘 기억한다.
당신의 두뇌는 이미 충분히 똑똑하다
IQ 연구 결과가 흥미롭다. IQ 86만 넘으면 창의성을 발휘하는 데 충분하다고 한다. 이는 전 세계 인구의 80%에 해당한다. IQ 104이면 더 높든 낮든 창의성에는 거의 차이가 없다. 전 세계 인구의 40%, 약 30억 명이 여기에 속한다.
당신도 그중 한 명이다.
문제는 머리가 아니다. 방법이다. 두뇌가 좋아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면, 누구나 놀라운 성과를 낼 수 있다.
마무리: 오늘부터 시작하는 변화
“열심히”의 정의를 바꿔보자.
- 과거: 오래, 많이, 힘들게
- 현재: 효율적으로, 전략적으로, 두뇌 친화적으로
당신이 그동안 부족하다고 생각했던 건 능력이 아니었다. 단지 두뇌가 좋아하는 방법을 몰랐을 뿐이다.

오늘부터 달라질 수 있다. 두뇌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그에 맞는 방법을 사용한다면 말이다. 예비 8번도 수석이 될 수 있었다. 당신은 얼마나 더 멀리 갈 수 있을까?
지금 이 순간, 선택은 당신의 몫이다. 계속 같은 방법으로 노력할 것인가? 아니면 두뇌가 좋아하는 새로운 방법을 시도해볼 것인가?
목차
AI와 생각을 정리하는 실전 콘텐츠,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매주, 구조화 칼럼과 실전 팁을 전해드립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